less than 1 minute read

포스팅 글 써보기

이제 블로그 포스트를 쓰기 위한 준비는 얼추 갖추어 졌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toc 다루기

toc은 목차와 같은 기능으로 MarkDown 문법의 헤더(Header)와 연동됩니다.
toc에 연동된 헤더(Header)가 등록이 되고 등록된 헤더(Header)를 클릭하면 클릭한 헤더(Header)로 이동합니다.

  • toc 구성요소
    1. toc : 포스트에서 toc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변수로 true 혹은 false 값을 이용합니다.
      • true : toc을 사용함
      • false : toc을 사용하지 않음
    2. toc_sticky : toc을 포스트의 오른쪽 상단에 고정할 것인지 결정하는 변수로 toc과 같이 true 혹은 false 값을 이용합니다.
      • true : toc_sticky 기능을 사용함
      • false : toc_sticky 기능을 사용하지 않음
    3. toc_label : 사용할 toc에 레이블을 붙여주는 것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문자열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 적용할 문자열은 "" 로 감싸주어야 합니다.
  • 예시는 다음 이미지와 같습니다.

2. _posts 폴더 추가

_posts 폴더를 만들고 이 폴더에 md 파일을 추가하여 포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저는 _posts 폴더에 카테고리별로 폴더를 나누어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1234

3. 포스터 양식 확인

categories, tags 형식이 맞지 않으면 포스트가 제대로 업로드 되지 않음 그래서 처음 포스트를 작성한다면 ./docs/posts 에 있는 아무 포스트 내용을 복사해서 필요없는 부분을 지우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

Comments